본문 바로가기

AI

논란의 딥시크(Deepseek), 한 번 써볼까?

728x90
반응형

논란의 딥시크(Deepseek), 한 번 써볼까?

 

중국의 인공지능(AI) 스타트업 '딥시크'가 핫하다. 오픈 AI와는 달리 '찐' 오픈소스라 누구나 코드를 열람-수정-배포가 가능하다고 한다. 특히 막대한 비용이 들기로 알려진 '훈련비용'이 매우 적어 빅테크 자금의 1/10 수준이라고 한다.

 

궁금한 건 못참는 띠용,

한번 써보자

 

 

 

https://www.deepseek.com/

 

먼저, 좌표는 위와 같다.

 

첫화면, DeepSeek는 V3버전까지 개발되었나보다.

[Start Now] 버튼을 누르고 구글 로그인 등으로 로그인해준다.

 

 

간단히 인사와 함께 중국의 딥시크에 대해서 소개해 달라고 했다.

 

중국의 딥시크(DeepSeek)는 인공지능(AI) 및 머신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기업 또는 프로젝트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. 딥시크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분석, 자연어 처리, 컴퓨터 비전 등 다양한 AI 기술을 활용하여 산업 전반에 걸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
중국은 전 세계적으로 AI 기술 개발에 있어서 선두주자 중 하나로, 정부와 민간 기업 모두 AI 연구 및 개발에 큰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. 딥시크와 같은 프로젝트나 기업은 이러한 환경에서 탄생한 것으로 보이며, 중국의 AI 생태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

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하시다면, 더 자세한 내용을 찾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. 예를 들어, 딥시크의 공식 웹사이트나 관련 뉴스 기사를 참고하시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. 😊

 

 

그렇다면 ChatGPT와 비교해서는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?

 

 

 

그렇구나, 아무래도 눈에 띄는 부분은 "실시간 데이터 처리"로 금융시장 데이터나 실시간 트렌드 분석 등에 대해서 보다 빠른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하니 기대가 된다.

(ChatGPT 때에는 최신화 된 데이터를 학습할 때까지 기다렸던 기억이..)

 

어쨋든 생성속도도 빠르고 사용하기도 불편함이 없어보인다.

 

자금력, 돈의 전쟁으로 치닫고 있는 AI 군비경쟁에서 막대한 자금이 들지 않아도 AI 컴퓨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고, 우리나라에도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.

 

 

728x90
반응형